본문 바로가기
일상 생활 한스푼/Life 한스푼

종이 호일과 알루미늄 호일의 무서운점?

by 냥이 스푼 2023. 2. 12.
반응형

 많은 분들이 요리하실 때 종이 호일과 알루미늄 호일 많이 사용하시죠? 대부분 종이 호일이 알루미늄 호일보다 안전하다 생각하고 많이들 사용하고 계신데요. 하지만 종이호일은 안전하지만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 알계시나요?

많은 분들이 요리할 때 냄새가 나는 걸 방지하기 위해 혹은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에어프라이어를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많이들 사용하시는데요.
 종이 호일에 대해 오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 차
1. 알루미늄 호일
2. 알루미늄 호일의 문제점
3. 종이 호일
4. 종이 호일의 문제점 

1. 알루미늄 호일

 예전부터 많이 사용하고 지금도 김밥을 포장할 때 혹은 요리할 때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많이 알려진 것과 같이 알루미늄 호일은 신체에 쌓이게 되면 위험한 물질입니다.
 알루미늄은 1. 염분(짠 음식) 2. 산성(식초와 같이 신 음식) 3. 높은 열 에 노출될 때 알루미늄이 녹아 나와 음식에 흡수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실 알루미늄 호일로 조리되어도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양은 미미 할뿐더러 체내 흡수율이 낮고, 대부분 신장에서 걸러져 배출이 되고 있어요. 
 세계 보긴 기구는 1kg당 40mg 정도를 일일 체내 허용치로 보고 있는데요. 이는 체중이 50kg 정도 인사람은 2000mg 정도입니다.

2. 알루미늄 호일의 문제점

 알루미늄은 우리 몸에 전혀 필요 없는 물질입니다. 지속적인 노출로 신체에 쌓이게 되면 구토, 설사, 메스꺼움. 그리고 가장 무서운 치매를 유발할 수 있어요.
 
미세알루미늄 성분은 혈관뇌간문(blood brain barrier)을 통과해서 뇌에 축척될 수 있어서 아직까지 정확한 기전은 없지만 알루미늄이 뇌에 비정상적인 변형된 단백질(베타아밀로이드)의 축척을 야기한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있어요. 

알츠하이머의 원인은 이밖에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알루미늄도 관여하고 있다고 보는 학자도 많기 때문에 알루미늄 포일로 조리하는 습관은 삼가야 할 것 같아요
 

3. 종이 호일

 알루미늄 대신 종이로 대체하여 많이 쓰고 있는데요. 우선 알루미늄 호일보다는 비싸지만 다용도로 쓸 수 있어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전자레인지에도 사용할 수 있고, 랩과 달리 유기물질이 기름에 녹아 나오지 않고, 그리고 산성 식품에 의해 포일이 녹지 않을뿐더러 양념이 많은 요리를 프라이팬에서 조리해도 눌어붙지 않으니 너무나 편한 조리기구예요.

 그런데 사실 종이 호일은 100% 종이가 아닙니다. 종이 뒷면에 실리콘으로 코팅한 것인데요. 이 실리콘은 내열성이 좋고 환경호르몬도 나오지 않아서 인체에 삽입해도 무해하기 때문에 아이 젖병과 가슴성형 시 보형물로 쓰이고 있어요.
무해하다고 하나 실리콘도 사용해야 하는 온도가 정해져 있답니다.
 

 

4. 종이 호일의 문제점

 실리콘은 200도가 넘어가기 시작하면 분해를 시작하면서 적은 양이지만 포름알데하이드가 나오기 시작해요
엄청 작은 양이라 건강에 큰 문제는 없다고 하지만 포름알데하이드는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에요. 그래서 종이 호일로 조리할 때는 꼭! 환기를 해야 하는 게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방법이에요.

 불에 직접 닿지 않는 에어프라이어나 오븐 같은 경우에는 뜨거운 공기를 회전시키는 대류현상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것이라. 180도 정도의 온도만 올라가니까 실리콘이 녹는 일은 없어 걱정 안 하셔도 돼요. 
 가장 우려스러운 것은 프라이팬에서 조리할 때 에요. 양념이 눌어붙지 않으려고 많이 사용하시는데, 높은 열이 직접적으로 종이호일에 닿기 때문에 음식에 실리콘이 녹아 흡수될 수도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요리할 때 너무나 편한 조리도구이지만 잘 못쓰게 되면 인체 좋지 않은 호일인데요. 상황에 맞게 너무 높지 않은 열로 조리해서 편리하고 건강까지 생각한 음식을 조리한다면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종이호일을 친환경 제품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신데요. 사실 실리콘을 만드는 과정이 친환경적이지 않답니다. 그리고 실리콘은 땅에 묻어도 100년이 지나도 분해되지 않고 그대로 있답니다.
 
 

오늘은 생활정보 한 스푼이었습니다.

 
관련된 내용으로 ▼ 아래 글을 추천드립니다.
 

 

생선과 고기 잡내 깔끔하게 잡는 노하우

매일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 정성 들여 준비한 음식에서 생선 비린내 혹은 고기 누린내가 나서 난감했던 경험이 있으시죠? 이러한 잡내를 잡기 위해 생각이나 마늘, 후추 같은 향신료를 넣는 방

nyangispoon2.tistory.com

 
 
 
 
 
- 끝 -

반응형

댓글